"각 당 후보 선출 후 공동 개혁과제 합의 전제로 야권 통합 후보 내야"
우상호 "野통합 오픈프라이머리, 바람직하지도 가능하지도 않아"
"각 당 후보 선출 후 공동 개혁과제 합의 전제로 야권 통합 후보 내야"

[촬영 천정인] 2024.7.5
(서울=연합뉴스) 박경준 기자 =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전 의원은 7일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'야권 원샷 완전국민경선' 제안을 두고 "바람직하지도, 가능하지도 않다"고 말했다.
우 전 의원은 이날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"선거인단 모집부터 문제가 발생해 부작용도 클 것이고, 시간도 오래 걸릴 것"이라며 이같이 밝혔다.
우 전 의원은 2012년 19대 국회의원 총선 당시 당 전략홍보본부장, 같은 해 대선에서 공보단장을 지내는 등 주요 선거에서 야권 후보 단일화 협상과 경선 실무에 밝다는 평가를 받는다.
우 전 의원은 "선거인단 모집의 경우 민주당 당원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각 후보 득표를 그에 맞춰 보정할 것인지 등이 문제"라며 "후보자 수의 경우도 민주당은 7∼8명에 이르는데 각 후보 수의 제한 여부도 문제가 된다"고 지적했다.
이어 "완전국민경선을 여론조사 방식으로 치른다면 문항의 설계를 합의하는 데도 시간이 걸린다"며 "연합정치를 하자는 취지를 좇다가 부작용이 커져서 야권 연합 후보를 내는 데 따른 마이너스 효과가 더 클 것"이라고 예상했다.
우 전 의원은 "가장 바람직한 방식은 각 당이 신속하게 후보를 선출한 후 공동의 개혁 과제에 대한 합의를 전제로 야권 통합 후보를 내는 것"이라며 "그래야 절차가 간명해지고 흥행에도 도움이 된다"고 했다.
우 전 의원은 "각 당의 규모나 지지율 차이가 크다는 점을 인정하고 공동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정책 협상을 치열하게 하는 것이 더 솔직하다"며 "'다음 정부는 명백하게 연합 정부다'라는 점을 천명하고 공동 캠페인을 하는 게 좋다"고도 했다.
우 전 의원은 '공동 정부 구상에 집권하지 않은 야당의 정치인이 입각하는 방안도 포함되는가'라는 물음에 "그것도 포함된다"며 1997년 대선 당시 DJP(김대중·김종필) 연합 방식을 구체적인 예로 삼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.
kjpark@yna.co.kr